지난번에 공익법인(구 지정기부금단체)의 신청 조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그 중에서 ‘홈페이지’ 부분을 자세히 다뤄볼게요.
마지막에 이 글을 요약하는 체크리스트도 넣어놨어요. 바쁘신 분들, 대략 아시는 분들은 맨 밑에부터 보세요.
지난글
홈페이지가 꼭 필요한 이유
공익법인이 되려면 ‘홈페이지’가 반드시 있어야 해요. 이건 단순히 단체를 소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법적으로도 중요한 부분이에요! 추천 신청서에도 꼭 기재해야 하고, 불특정 다수가 우리 단체의 공익 목적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어요.
꼭 비싼 홈페이지를 만들어야 할까요?
홈페이지를 만들려면 비용도 들고 관리도 해야 해서 걱정이 많으시죠? 희소식을 알려드릴게요!
[법인세법 시행령 제39조제1항제1호바목]에 따르면, 특별한 경우에는 블로그나 카페도 인정된다고 해요! 단, 두 가지 조건이 있어요.
-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할 것
- 연중 자료를 자유롭게 볼 수 있을 것
따라서 네이버 블로그나 카페로 제작한 후에 신청서에 넣으면 됩니다. 네이버에서 사단법인들을 검색해보면 다들 간단하게 블로그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계시네요. 2021년부터 올린것보면 큰 문제없이 사용하시는걸로 보이네요.
개설 방법은 아주 간단해요. 일단 단체아이디부터 개설한 상태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단체아이디 개설은 필요시 별도로 작성할게요.
네이버 블로그로 시작하기
아무래도 네이버 블로그게 제일 편하죠. 블로그로 시작하시려면 이렇게 하시면 돼요!
- 네이버에서 ‘단체 아이디’로 가입하기
- 블로그 개설하기
네이버 블로그 개설 방법 - 블로그 이름을 사단법인 이름으로 설정하기
- 공시 관련 카테고리 만들기
- 모든 공시 자료는 반드시 ‘공개’로 설정하기
네이버 카페로 시작하기
카페로 시작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 카페 개설하기
- 공시용 카테고리 따로 만들기
- 모든 공시 자료는 ‘공개’로 설정하기
잊지 말아야 할 것!
블로그나 카페를 만드셨다면, 위젯으로 꼭 아래 사이트들을 연결해주셔야 해요! 이건 2021년도부터 추가 사항으로 들어갔어요. 꼭 넣으셔야 합니다.
- 국세청
- 국민권익위원회
- 주무관청
(*이 부분은 다음 글에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한번 더 꼼꼼하게 홈페이지 개설 체크리스트
1. 기본 설정 확인하기
- 단체 명의의 네이버 아이디로 가입했나요? (홈페이지 주인의 명의가 법인이어야함)
- 블로그/카페 이름이 사단법인명과 동일한가요?
- 프로필에 단체 정보(주소, 연락처)가 정확히 기재되어 있나요?
- 포털 검색 시 블로그/카페가 잘 검색되나요? (이건 시간이 좀 걸려요. 신청서 상에는 문제 없다고들해요)
2. 필수 카테고리 구성
- 단체 소개 카테고리 생성
- 설립 목적과 연혁
- 조직도와 임원 현황
- 주요 사업 소개
- 공시/공개 카테고리 생성 (필요한 것만 갖다 쓰세요)
- 정관
- 이사회 회의록
- 사업계획서/예산서
- 사업실적/결산서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3. 접근성 확인
- 모든 게시물이 ‘공개’ 설정되어 있나요?
- 로그인 없이도 자료 열람이 가능한가요?
- 기부금 내역이 누구나 볼 수 있게 공개되어 있나요?
- 자료 다운로드에 제한이 없나요?
4. 연계 사이트 링크 (1개 이상)
- 국세청 공익법인 공시시스템
- 국민권익위원회
- 주무관청 홈페이지
⚠️ 자주 하는 실수 체크
- 게시물을 ‘비공개’나 ‘친구공개’로 설정
- 연락처나 위치 정보 누락
- 기부금 내역을 불규칙적으로 업데이트
- 정관이나 주요 서류를 찾기 어려운 곳에 게시
- 관련 기관 링크를 깨진 링크로 등록
- 댓글이나 방명록 관리 소홀
💡 운영 꿀팁
- 중요 공시 자료는 상단에 고정
- 월별 업데이트 일정 캘린더 만들기
- 기부금 내역은 엑셀 다운로드 기능 추가
이렇게 하면 홈페이지 요건은 충족할 수 있어요. 처음에는 블로그나 카페로 시작하시고, 나중에 여유가 되시면 독립 홈페이지를 만드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신입 사무국장의 공익법인 신청기는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