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챗(Google Chat)에서 웹훅을 확인하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공해주신 이미지를 참고하여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웹훅이란?
웹훅(Webhook)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HTTP 기반의 콜백 기능입니다. 구글챗에서는 이를 통해 외부 시스템과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구글챗 웹훅 확인 및 설정 방법
1. 웹훅 액세스하기
- 구글챗 인터페이스에서 좌측 메뉴의 “앱 및 통합” 또는 “투자봇”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 웹훅 관리 페이지에 접근합니다.
2. 웹훅 목록 확인하기
-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웹훅” 섹션에서 현재 생성된 웹훅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웹훅 2개”라고 표시된 것처럼 현재 몇 개의 웹훅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3. 새 웹훅 추가하기
- “웹훅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새 웹훅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팝업 창에서 웹훅 이름(예: “test”)을 입력합니다.
- 필요에 따라 아바타 URL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선택 사항).

4. 웹훅 URL 확인하기
- 생성된 웹훅의 URL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URL은 일반적으로 “https://chat.googleapis.com/v1/spaces/…” 형식입니다.
- 이 URL은 외부 애플리케이션에서 구글챗으로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됩니다.

5. 웹훅 관리하기
- 각 웹훅 옆의 메뉴(점 세 개)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옵션이 나타납니다:
- 링크 복사: 웹훅 URL을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 수정: 웹훅 설정을 변경합니다.
- 삭제: 웹훅을 삭제합니다.
웹훅 활용 팁
- 테스트 방법: 웹훅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려면 curl이나 Postman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테스트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 보안 고려사항: 웹훅 URL은 민감한 정보이므로 안전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 자동화 활용: 웹훅을 사용하여 알림, 업데이트, 모니터링 결과 등을 자동으로 구글챗 스페이스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 SEO 활용: 웹사이트 성능 지표, 순위 변화, 크롤링 오류 등 SEO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구글챗에 전송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구글챗의 웹훅 기능을 활용하면 팀 커뮤니케이션과 워크플로우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으며, SEO 작업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