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분위기를 유지하기편 – 아이에게 열린 질문이 두려운 부모의 마음가짐

완벽한 대답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 열린 질문이 어려운 부모에게

[열린 질문을 위한 4가지 방법] – ② 아이의 답변을 존중해 주세요

에 이어지는 3번째편! ‘즐거운 분위기 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와 대화를 나누다 보면 열린 질문이 조금 부담스럽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아이가 어떤 말을 할지 예상하기 어려워 걱정되기도 하고, 질문 하나로 분위기가 갑자기 어색해질까 봐 두렵기도 하지요. 이런 불안은 당연한 것입니다.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걱정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열린 질문은 아이의 창의력과 자기표현력을 키우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부모님의 질문 하나가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고,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아이와 즐겁게 열린 질문을 나눌 수 있을까요?

1. 아이의 말을 온전히 수용하기

열린 질문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답변을 평가하지 않고 수용하는 것입니다. “왜 그렇게 생각했니?” 대신 “그랬구나, 네 생각이 궁금해. 더 이야기해 줄래?”라고 말해보세요.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마음껏 펼칠 수 있게 되어 분위기도 밝아지고 대화도 풍성해집니다.

2. 완벽한 답을 기대하지 않기

아이에게 열린 질문을 할 때는 항상 “정답”을 기대하지 말고, “생각”을 듣는다는 마음으로 접근하세요. “오늘 뭐가 제일 재밌었어?”라는 질문에 “모르겠어”라는 답을 들어도 괜찮습니다. 대신 웃으면서 “그럴 수도 있지! 그럼 엄마(아빠)가 오늘 재밌었던 걸 얘기해볼게!” 하며 자연스럽게 다음 대화로 이어가 보세요.

3. 아이와 함께 질문을 즐기기

아이에게 질문을 던질 때 긴장하지 말고, 그 순간을 함께 즐겨보세요. “만약 하늘을 날 수 있다면 어디로 가보고 싶어?” 같은 상상력이 풍부한 질문을 하며 아이와 함께 웃고 즐거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열린 질문은 아이의 정답을 얻기 위함이 아니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즐거운 과정이라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부모님, 걱정하지 마세요

아이와의 열린 질문이 처음에는 다소 어색할 수도 있고, 어떤 이야기가 튀어나올지 몰라 긴장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열린 질문을 통해 아이의 마음에 한 발짝 더 다가가게 되고, 아이가 부모님과의 대화를 더 기다리게 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아이의 마음을 조금 더 이해하고 싶다면, 열린 질문과 함께 가볍고 편안한 마음으로 아이와의 대화를 즐겨보세요. 두려움보다는 아이와의 친밀감을 먼저 생각하면, 분명 지금보다 더 풍성하고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