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거래란? 선물보다 더 안전하게 돈을 걸 수 있는 구조
“투자는 하고 싶은데, 손실은 무서운 사람에게.”
앞서 선물거래를 알아보면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었습니다. 큰 수익을 노릴 수 있지만 청산 위험까지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죠. 혹시 손실은 한정하면서도 수익 기회는 놓치지 않을 방법이 없을까요?
바로 “옵션거래”가 그 해답입니다. 옵션은 말 그대로 “선택권”을 사고파는 거래입니다.
옵션을 일상 비유로 이해해보자
부동산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마음에 드는 아파트가 있는데 현재 가격이 5억원입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 5억원이 없고, 3개월 후에나 돈을 마련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집주인에게 “3개월 후에 5억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주세요. 대신 지금 500만원을 드릴게요”라고 제안할 수 있습니다.
3개월 후 상황별 결과:
- 아파트 가격이 6억원으로 올랐다면: 권리를 행사해서 5억원에 구매 → 1억원 – 500만원 = 9,500만원 수익
- 아파트 가격이 4억원으로 떨어졌다면: 권리를 포기 → 500만원 손실로 끝
이게 바로 옵션의 핵심입니다. 최대 손실은 처음에 낸 프리미엄(500만원)으로 한정되지만, 수익은 무제한입니다.
콜 옵션과 풋 옵션
옵션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콜 옵션 (Call Option) – 살 권리
- “특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
-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상할 때 구매
- 위의 아파트 예시가 바로 콜 옵션
풋 옵션 (Put Option) – 팔 권리
- “특정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
-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할 때 구매
비트코인 예시로 다시 설명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 옵션 실전 예시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50,000달러일 때:
콜 옵션 구매 (상승 베팅)
- 행사가격: 52,000달러
- 만료일: 1개월 후
- 프리미엄: 1,000달러
1개월 후 시나리오:
- BTC가 60,000달러: (60,000 – 52,000) – 1,000 = 7,000달러 수익
- BTC가 55,000달러: (55,000 – 52,000) – 1,000 = 2,000달러 수익
- BTC가 51,000달러: 권리 포기, 1,000달러 손실
- BTC가 40,000달러: 권리 포기, 1,000달러 손실
풋 옵션 구매 (하락 베팅)
- 행사가격: 48,000달러
- 만료일: 1개월 후
- 프리미엄: 800달러
1개월 후 시나리오:
- BTC가 40,000달러: (48,000 – 40,000) – 800 = 7,200달러 수익
- BTC가 45,000달러: (48,000 – 45,000) – 800 = 2,200달러 수익
- BTC가 49,000달러: 권리 포기, 800달러 손실
- BTC가 60,000달러: 권리 포기, 800달러 손실
옵션의 핵심 구조: 프리미엄
옵션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 바로 “프리미엄”입니다. 이는 선택권을 사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으로, 여러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프리미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 현재가와 행사가의 차이: 차이가 클수록 프리미엄 증가
- 만료일까지 남은 시간: 시간이 많을수록 프리미엄 증가
- 변동성: 가격 변동이 클수록 프리미엄 증가
- 시장 상황: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
옵션은 누가 언제 쓸까?
개인 투자자 관점 방향성은 있지만 확신이 부족할 때 옵션을 활용합니다. “비트코인이 오를 것 같긴 한데, 만약 틀리면 큰 손실을 보고 싶지 않아”라는 심리에서 출발합니다.
기관 투자자 관점
이미 보유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보험 용도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1,000 BTC를 보유한 기관이 가격 하락에 대비해 풋 옵션을 구매하는 식입니다.
실전 비트코인 옵션 활용 사례 한 투자자가 10만 달러로 비트코인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선물거래 선택시:
- 10배 레버리지로 100만 달러 규모 거래
- 10% 상승시: 10만 달러 수익 (100% 수익률)
- 10% 하락시: 10만 달러 손실 (청산)
옵션거래 선택시:
- 10만 달러로 다양한 콜 옵션 구매
- 상승시: 레버리지 효과로 큰 수익 가능
- 하락시: 최대 10만 달러 손실로 한정 (청산 없음)
선물과 옵션, 무엇이 다른가?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정리해서 비교해보겠습니다.
구분 | 선물거래 | 옵션거래 |
---|---|---|
손실 한도 | 무제한 (청산 위험) | 프리미엄으로 한정 |
수익 가능성 | 무제한 | 무제한 |
초기 비용 | 증거금 | 프리미엄 |
의무성 | 의무적 이행 | 선택적 행사 |
시간 제약 | 없음 | 만료일 존재 |
복잡성 | 상대적으로 단순 | 상대적으로 복잡 |
언제 선물을, 언제 옵션을 선택할까?
선물거래는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강하고, 적극적으로 레버리지를 활용하고 싶을 때 적합합니다. 반면 옵션거래는 방향성은 있지만 리스크를 한정하고 싶거나, 기존 포지션을 보호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옵션거래 시 주의사항
시간 가치의 소멸 옵션은 만료일이 다가올수록 시간 가치가 줄어듭니다. 예상한 방향으로 가격이 움직여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면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변동성의 함정
높은 변동성 때 프리미엄이 비싸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변동성이 줄어들면 옵션 가치도 함께 하락할 수 있습니다.
행사 타이밍 옵션을 언제 행사하거나 매도할지에 대한 판단이 중요합니다. 만료일까지 기다릴 필요는 없으며, 중간에 매도해서 이익을 실현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이걸 다 왜 알아야 할까?
지금까지 USDⓈ-M부터 시작해서 선물거래, 옵션거래까지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아직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이 남아있습니다. “그래서 내 돈으로는 실제로 뭘 선택해야 하는 거야?”
다음 글에서는 이론적인 설명을 넘어서 실전 상황에서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고 선택해야 하는지 다뤄보겠습니다. 현금 구매, 선물거래, 옵션거래를 실제 투자 시나리오로 비교 분석해서, 여러분만의 판단 기준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이전 글: 선물 거래란? 개념보다 돈의 흐름으로 이해해보기
다음 글: 선물 vs 옵션 vs 현금 구매, 실제로 뭘 선택해야 할까?